금웅

소액생계비대출 신청 후 100만원 입금시간은? 직접 받은 후기!

문필로그 2023. 11. 2. 07:56
반응형

요즘 대출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많은 분들이 정부대출을 찾고 계신데요. 대출 한도가 꽉 차서 DSR초과되신 분 들이거나 현재 연체자, 무직자, 신용등급이 좋지 않은 분들도 가능한 소액생계비대출이 있죠. 소액생계비대출에 대한 조건과 후기, 부결사유와 입금시간까지 1분 만에 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소액생계비 조건

    소액생계비 대출 조건은 하위 20% 이하 이면서 연소득이 3500만 원 이하인 분들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심지어는 현재 연체 중이신 분들도 대출 신청이 가능하므로 현재 경제상황이 좋지 않으신 분이 신청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대출금리가 연 15.9%로 설정되어 논란이 있었는데요. 6개월 성실상환 시 금리인하(3.0% p)가 가능하오니 성실 상환하셔서 금리 할인받으시길 바랍니다. 

    대출금액 최대 100만원
     (최초 이용시 최소 50만원, 6개월간 정상이용 시 추가대출 1회 가능)
    ※ 의료ㆍ주거ㆍ교육비 등 특정용도의 경우 최초이용 시 최대 100만원 한도 내 대출 가능
    이율 연 15.9^
    대출기간 만기 1년 (성실상환시 5년까지 연장가능)

     

    소액생계비 대출후기

    실제 소액생계비 대출을 받은 후기입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센터 예약을 진행했고 4월 27일에 방문했습니다. 10분 정도 소요가 됐는데요. 신분증과 통장사본을 제출했고 상담원분은 이율, 긴급지원, 신용회복에 관환 내용들을 간단히 안내해 주시고 소액생계비 질문을 하셨습니다. 

    질문내용은 간단했는데요. 
    - 소액생계비 금리가 어떻게 될까요? 15.9%
    - 6개월 동안 성실납부하시면 금리 인하는 몇 프로가 될까요? 3%
    - 만기는 몇 년일까요? 1년 
     
    수준의 간단한 질문이었고 서류 작성을 마무리하고 센터를 나왔습니다. 
     

    소액생계비 입금시간

     

    센터에서 상담받으시고 서류제출까지 완료하셨다면 1~2일 이내 입금이 완료되는 것으로 안내가 되는데요. 실제로는 센터를 나오니 바로 입금 완료가 되었습니다. 30분 만에 입금처리받았으며 다른 분들도 대게 1시간 이내에 입금이 되셨습니다.
    다만 상황에 따라 1~2일도 쇼요가 될 수 있는 점은 참고해 주세요. 
     

    소액생계비 부결이유

    소액생계비 대출은 연체자한테도 가능한 대출일정도로 부결이 잘 되지 않습니다. 연봉 3500만 원을 초과하시거나 한국신용정보원에 국세 및 지방세 체납정보, 대출·보험사기 등 금융질서문란정보가 등록된 사람은 대출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디만 신용점수 연봉이  조건에 맞고 체납정보 금융질서문란정보 등록이 되지 않으셨다면 10명 중 9명은 승인을 받았다는 후기가 많으니 직접 조회를 통해 가능한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신청하기

    소액생계비 2차 신청 후기

     

    소액생계비 1차를 받으시고 6개월이 지나셨다면 2차 추기 신청이 가능한데요. 1차에서 50만 원을 받으셨던 분들에 한해 6개월 성실상환 시 50만 원의 추가 대출이 가능합니다. 1차 받으시고 6개월이 지나셨고 추가대출이 필요하시면 이번에는 센터 방문 없이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추가대출 신청을 통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추가 대출 신청 후 입금까지는 1시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소액생계비 필요서류

    50만 원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신분증과 통장사본만 있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100만 원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의료ㆍ주거ㆍ교육비 등 특정용도로 인증이 가능해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주거비로 받으시려고 한다면 월세계약서와 관리비 미납이 있으시다면 증빙자료(관리비 독촉장), 월세 미납이 있으시다면 월세 미납 자료(월세 독촉장)를 준비하시면 됩니다.  의료비 영수증, 교육비 영수증 등 영수증, 독촉장 등 증빙할 수 있는 자료를 가지고 센터 방문하시면 됩니다.
     
     
     

    반응형